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모두 가입하셨나요?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으로 신규 가입일 나이 19세~ 34세 이하에게 특별히 정부가 혜택을 주는 상품으로 이율이 연 최대 9.54% 수익효과를 거둘수 있는 상품입니다. 2025년에 가입하면 정부 기여금 지원이 확대돼 수령금이 최대 60만원까지 더 늘어나는 상품인데 가입 조건만 되신다면 무조건 가입해야 하는 상품입니다.

     

    그럼 '2025년 가입 신청 기간부터 확인하시고 계획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 청년도약 계좌 2월 가입신청 기간

     

    2월 가입 일정 

     

    청년도약 계좌 가입 신청기간


    2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기간은 2월 3일 ~ 2.월 14일로 취급은행 모바일앱에서 간편하게 가입신청이 가능하며, 기존에 가입을 신청했으나 계좌를 개설하지 못했던 청년도 이 기간에 재신청할 수 있다. 이후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거쳐 계좌개설이 가능하다고 확인된 청년은 계좌를 개설할 수 있으며, 1인 가구 청년은 2월 20일부터 2월 28일까지, 2인 이상 가구 청년 가입요건 확인도 이 기간에 진행이 되니 참고하세요.

     

    취급은행  : 농협, 신한, 우리, 하나,기업, 국민, 아이엠, 부산, 광주, 전북, 경남은행

     

     

     

    📍참고로 청년도약 계좌 가입은 가입신청 조건이 되어야 가능하므로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조건부터 중위소득 250% 총금액은행예금 금리 비교까지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타고 기본사항 확인부터 하고 오세요~

     

     

    2025년 새로워진 청년 도약 계좌 매칭 지원금 최대 60만원 더, 적금 이율 최고 9.54% 2025년 1월 무조

    '23년 6월 출시된 청년도약계좌은 청년의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19~34세 청년이 매달 최대 70만원씩 만기 5년(60개월) 동안 납입하면 정부 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 소득에 대

    zelkova0114.com

     

     

     

    청년도약계좌에 올 한 해 동안 106만 명의 청년이 신규 입해 올해 말까지 누적 157만 명이 가입했다.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는 청년이 600만 명(추정)인 점을 감안할 때, 청년 4명 중 1명 이상이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자산을 형성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내년도 청년도약계좌 사업 예산은 3470억 원으로, 내년에도 기존과 같이 차질 없이 매월 가입을 받고 기여금을 지급해 나갈 예정이다.

     

    더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신 분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확인하세요~

     

     

    청년도약계좌 개설하기

     

     

     '25년도 확대되는 매칭정부 기여금 지원 확대

     

    2025년 1월부터 청년도야계좌의 기여금 지원이 확대됩니다. 이전에는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1만원에서 2.4만원의 기여금을 지원 받았지만, 이제는 모드 소득 구간에서 매칭 한도가 월 70만 원까지 확대되어, 실제 납입한 금액에 따라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확대된 구간에는 매칭 비율 3.0%가 적용됩니다.

     

     

     

    기존지급액과 2025년 기준 금액을 확인해 보면 2.400만원 이하인 경우 9,000원의 기여금이 추가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기존에는 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매칭한도인 40만 원까지만 기여금을 지급하여  월 2만 4000원의 기여금을 받았지만,  내년 1월부터는 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매칭한도 확대구간(월 40만~70만 원)에 기여금을 3.0%로 매칭지급해 9000원(30만 원×3.0%)이 증가한 월 3만 3000원의 기여금을 받게 된다.

     

     

     

    이 경우, 가입자가 만기 때 수령하는 금액은 최대 60만 원까지 증가해 일반적금상품 기준으로 기존 연 최대 8.87%의 수익효과에서 향후 연 최대 9.54%의 수익효과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궁금한 사항은 오픈채팅방에서 확인하세요~

     

     

     

    3년 이상 가입 유지후 중도해지시 비과세 혜택과 기여금 일부 지원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면 부득이하게 중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기여금 일부(60%)를 지원 받을 수 있게 되어 중도 해지 부담이 완화되었습니다. 2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고 800만 원 이상 납일할 경우 개인 신용평가 점수가 5~10점 이상 자동으로 부과되며, 2년 이상 가입 시 납입 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 인출할 수 있는 서비스도 2025년 하반기 중 시행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안내는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1397)) 또는 취급은행 콜센터에 문의할 수 있다.

     

     

     

    * 가입 및 심사절차

     

     

     

    가입시 유의 사항

     

    •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
    •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 불가능
    •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아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가 확인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 중지

     

     

     

     

    반응형